IRP계좌, LPG 가격 결정
IRP계좌, LPG 가격 결정
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12월 9일 방송
◎ 오늘의 숫자 : 54원
소주업계 1위인 하이트 진로가 소주 출고가를 54원 올렸다.
업계에서는 출고가가 50원 오르면 도매주류상에서 200원, 소매점에서는 1000원 정도를 올리는 것으로 보고있다.
◎ IRP계좌
- 삼성증권 김예나 세무전문위원 -
IRP는 개인형 퇴직연금계좌로 세금혜택이 있지만, 중도인출이나 상품운용에 제한이 있다.
퇴직금을 담아서 운용하거나, 근로자가 재직하는 중간에 본인이 스스로 적립했다가 연금으로 받는 방법이 있다.
▷ IRP계좌 혜택은?
13.2% 세액공제를 최대 700만원 한도로 받을 수 있기때문에, 불입하고 내년에 바로 환급받는 효과가 있다.
총급여가 5500만원 이하인 사람은 16.5%를 받을 수 있다.
▷ 가입조건은?
가입하려면 회사가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해서 퇴직연금에 가입된 상태여야 한다. 필수조건이다.
계좌개설을 하러 가면 퇴직연금가입확인서가 필수적인 서류다.
직업군인, 공무원, 교사 등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아니기때문에 가입이 어렵고
자영업자는 2017년부터는 가입이 가능하도록 고려되고 있다.
▷ 중도해지를 하면?
퇴직 전에 일시에 해지하면 세액공제받았던 혜택을 반환해야한다.
한 금융기관에 여러 IRP계좌를 만들기는 어렵지만,
금융기관마다 하나의 IRP계좌는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나눠서 불입하는 것이 중도해지로 인한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다.
▷ IRP계좌의 이자는 얼마나 되는지?
IRP는 특정 상품이 아니라 계좌다. 계좌안에서 본인이 운용지시를 해서 다양하게 상품 운용을 할 수 있다.
예금으로도 가능하고 혹은 주식형펀드, 채권형펀드 다 가능하다. 본인이 운용하는 것에 따라 실적은 달라진다.
◎ LPG가스가격은 누가 정하는건가?
LPG가스는 원유를 캐내는 과정에서도 나오고, 정유공장에서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도 나온다.
우리나라에서 쓰는 LPG가스의 60%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(Aramco)라는 회사에서 사온다.
가스가격은 아람코가 정하면 그 가격에 사오는 수밖에 없다.
LPG를 파는 나라가 별로 없기때문에 중동산 LPG가 아니면 노르웨이나 나이지리아에서 사와야하는데 운송비가 많이 들어서 결과적으로 더 비싸진다.
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LPG를 가장 많이 쓴다. 전세계 소비량의 20%를 한국이 쓴다.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우리가 더 아쉽기에 부르는 가격에 사오는 경우가 많다.
보통은 원유가격에 연동해서 LPG가격을 정한다. 그런데 요즘엔 원유가격은 폭락하지만 LPG 가격은 사우디에서 더 올리고 있다. 원유값 폭락으로 인한 손실을 LPG로 만회하려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.
우리나라 정유공장도 휘발유나 경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LPG를 만들 수 있는데, 아람코에서 정한 가격에 판매한다. LPG가스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미국이 우리나라에도 LPG 수출을 하게되면 사우디와 가격협상을 할 수 있겠지만, 지금까지는 대안이 없기에 사우디가 부르는 가격을 주고있다.
※ 이진우의 손에잡히는경제 12월 9일 방송내용입니다.
'#한걸음 나아가기 > - 다양한 정보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음식물쓰레기 버리는 법(처리방법) (0) | 2020.06.04 |
---|---|
고덕강일지구 8단지 14단지 분양 (5호선 강일역 개통예정) (1) | 2020.06.03 |
방송통신대 일본학과 과제물 확인 (0) | 2019.03.05 |
방송통신대 졸업요건 및 편입 인정학점 (0) | 2019.02.26 |
쪽지예산, 2017년부터 시행될 베일인(Bail in) 제도 (2) | 2015.12.09 |
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은? (2) | 2015.12.07 |
공유경제(sharing economy)란? (1) | 2015.07.15 |
크라우드펀딩(Crowdfunding)이란? (6) | 2015.06.05 |